top of page

Images & Reverberations of Sound in the Canvas of Sori Choi

A Critique by Park Gwangmin
-
Research Associate with Center for Korean Language & Cultural Education

  1  

Reverberation is the voice of one’s mind and the sound of one’s heartbeat and excitement. The paintings by Choi Sori represent an outcry of such a voice and beat in a form he has created. Reverberations emanating, undefiled, from the abyss of the artist’s heart produce an echo that spreads out to make the viewer’s heart throb.

When spelled out in the Chinese alphabet (鼓動), the reverberations alluded to signify the beats of a drum. I understand that the drum is one of the oldest musical instruments invented by humanity and, as such, the boom-boom sound of a drum is akin to the pulsations of a human heart. That’s why the drumbeat makes one’s heart throb. A throbbing heart means that one’s mind, moved by something, undulates like a wave, thus falling into a state of complete selflessness. The drumbeat reverberating throughout a battleground also inspires and emboldens the soldiers to march on fearlessly. 

Reverberation and Silence are interconnected. Thus sang the poet 韓偓 (Han-ag) of Tang China in his poem “寄禪師” (Strange Zen Teacher): “萬物盡遭風鼓動 唯應禪室靜無風. All things throb when encountering the wind but before the silence of a Zen Chamber—and only there—the wind abates.“ As expounded by Han-ag, Motion and Quietude occur not by dint of external things but the workings of one’s mind. 

  2  

The minute I met him, an episode going back to antiquity dawned on me instantly, namely, what we know as “Jee-um (知音)” -- a close friend whom you know so well that you can intuit what s/he is thinking by listening to a tune s/he plays on a string instrument. Here the two buddies are 伯牙 (Bae-gah) who plays the instrument and 鍾子期 (Jongja-gee) who can tell his friend’s state of mind by the tune he hears. Did he perhaps feel about his friend the same way I did about this artist named Choi Sori upon running across him for the first time? Although I’m no Jongja-gee, I dare say Sori is a man of art on a standing equal to Bae-gah’s.

I went to the city of Goyang on July 13, and there was the artist Choi Sori. The purpose of my trip to the city was actually to have a visit with his wife Jung Eunha, whom my friend Mr. Noh Gwangrae kindly offered to introduce me to. We arrived at her place at around 11, when we found Choi there unexpectedly. I had initially planned to see Mr. Noh and an acquaintance of his around !2:30 after a short visit with Ms. Eunha. But then, upon encountering Choi Sori, I just got immersed in a dialogue with him like a person who met in this life an old buddy of his from a prior age. Our (two crazy fellas) talk grew from long to endless, oblivious to Mr. Noh who had become restless seemingly trying to postpone our appointment. I felt bad to keep him waiting but my conversation with Choi only grew incessant.

Had it not been for a prior engagement, we’d have kept on talking all day long. I left Mr. Choi at 1:40-ish with reluctance. Having become antsy because we’d be late for our afternoon appointment, Mr. Noh kept calling his friend to tell him we were coming but to no avail. The person at the other end of the line likely got mad at us and left the scene as we were over an hour late. If he did, who’s to blame him?      

About the talk I had with Choi Sori that day, I was most impressed by his remark “I just know.” Here’s the context. What I do is simply observe nature’s shifting phenomena, watching for hours on end the works that it makes, and then add a bit of my own thing to what nature does. In other words, I make my works together with nature. That’s basically it. Some artists ask me what the techniques are that I employ. But, you see, I just know without anyone teaching me.“

When I heard him say “I just know” I responded likewise. That is, in the spirit of Let it be (天津). In my humble book entitled 300 Selections of Historical Narratives published years ago (Wa-U, Seoul, 1999), I wrote a preface as follows:   >>>>>

In a variorum on The Annalects, the Confucian scholar Chengzi (程子, 1032-85) of Song China said, “Confucius knew truth at birth (生而知者也).” People in the old days knew the reasoning of Heaven by means of Heavenly wisdom. whereas today people carry on their life by means of human wisdom. Now, what is Heavenly wisdom? What is human wisdom? The former refers to that which shines big while the latter to what is very foolish. The former is insight embedded in Heavenly wisdom one is born with which, being unpretentious and open-minded, a person comprehends on his/her own with no instructions by a third party. S/he  understands the change of four seasons, life and death, and the celestial measurements by considering them through his disposition and knows what others think by reflecting on her/himself by putting her/himself in someone else’s shoes.

“I just know” means to me that the person saying so is linked to Heavenly wisdom. Who the heck is this crazy guy with a ponytail who dares say “I just know”? If he spoke absurd gibberish, I would not have indulged in a dialogue with him putting off an appointment. Privately I did recognize his audacious remark. Choi is a shy man who seldom exchanges in a conversation with strangers and yet it seemed as though he felt he could have a chat openly with a fellow who responds in an unfettered way talking about Chuang-tzu’s philosophy of emptying out one’s mind. Later on I told Mr. Noh that I think Choi is a peculiar man and he appeared dubious.    

  3  

Choi Sori and I talked for over two hours upon my arrival at his house and only then, mindful of Mr. Noh, did I begin to see his artwork. I marveled at every piece I saw. Enthused by a conversation which he found appealing, Choi went so far as to show me two special (secret?) items that he has let no one else see before. The minute I saw them, I fell into a state of selflessness once again, unable to detach my eyes from them. “These aren’t like any ordinary works of art that money can buy.” So, in amazement, I said to Mr. Noh with my eyes still glued to them. How in the world could such an artwork be produced? I repeated myself saying, “These aren’t what you can buy with money.” That was an exclamation emanating naturally from within my inner self. 

Choi produces his artwork on aluminium or bronze plates by either placing or spraying dyes on them, then patting the edges sorta like one pounds a drum so that the dyes spread out. That’s how he makes his art, a method that no brushwork can mimic. Formerly a drummer with the Baekdusan musical group dating back to the l990s, I think Cho Sori has developed his own particular way of producing art.

 

After I first met Choi, I had occasions to browse YouTube to view his performances at the closing ceremony of Guangzou Asian Games and elsewhere and I must say his countenance as a drummer was literally akin to that of “a mad beast.” The way he was beating his drum reminded me of a state of mind described by the idiom 物我一切, meaning “Unity of the ego and the external world (or of oneness of the physical and spiritual world).” My point is that Choi’s kind of  “beastly” performance would be impossible without “entry into the domain of a deity.” In other words, Choi Sori as an artist has transferred his inner musical passion to the canvas and aluminium/bronze plate on which he lets his animal-like fury erupt into a thousand cranes, blooming flowers, and cosmic reverberations, as it were, portrayed in startling forms sans embellishment.

  4  

Choi told me that something was wrong with his hearing, possibly a lethal issue for a person whose profession is music. While in agony doing researsals with his drum, he at one point threw away his drum sticks out of pent-up anger. The spot on a wall hit by the drum sticks showed an unexpected design, however. Wow, what kind of a sign could this be? Then and there he suddenly realized the kind of direction to pursue as an artist and he began to fiercely cultivate a unique form of art that has since become his own. Although he never had any prior training in art, his early works he developed by beating drum sticks on paper canvases exhibit a remarkable degree of perfection no ldess impressive than works done by presumably accomplished artists prclaiming minimalism. Now he stands on a firm ground that he has laid with works of art by experimenting them employing various materials on canvases made of paper, aluminium, bronze, and netting thread in ways that one may very well call foolhardy. 

Beating things with drum sticks is the hallmark of Choi’s artwork, but it would be a gross error to assume that his brushwork will be awkard. Abstract or conceptual works that he has produced using brush demonstrate a level of perfection that may justifiably be called beautiful. Juxtapose them —the piece entitled “The Lord’s Prayer” in particular-- (with the name tag concealed) alongside some of the works, say, of Joan Miro (such as “Harlequins Carnival, Self Portrait, The Read Disk”) and you as a viewer might think his pieces are just as good in terms of esthetics, and creativity. A U.S. service woman who happened to see a one of Choi’s works done in ink and with brush got so taken by it that she picked it on the spot up with her savings. She said it would be a permanent collection of hers. Her instantaneous action was a testimony that Choi’s brushwork was a piece of Zen painting done not artificially but as his heart led him. 

 

  5  

Choi Sori has a two-story atelier in a neighborhood called Chonghak Dong inside Mt. Jiri in southwestern Korea. My wife and I visited him there in August this year (2021) and that’s where he has all his works on display. The spacious yard is covered with little gravels, beneath which and in the surrounding bushes are bronze plates being made into works of art absorbing the beautiful hues of nature, blending with the traces of tiny insects and the energy emanating from them after they took on different colors after they were sacrificed while climbing upon the broze plates made blazing hot by the sun in summer. As Choi put it, all he does is to add a bit of his touch to the works of art manufactured in nature for a period of one to two years. The results are simply marvelous as they bespeak the insight of an artist who, having observed the vigor being put forth by little stones he happened to pass by, emptied his heart into them, thus taking part in the making of artworks in a most humble manner. That is how I witnessed Choi’s artwork, becoming mature on bronze plates by receiving the quintessential energy from Mt. Jiri, brimming with his body and soul. 

  6  

The secret of Choi’s art is his ability to impress upon the viewer by beating her/his mind. “I’ve decided to give all I have to my art. I do not compromise my art by succumbing to material temptations or negotiations. I would rather die than bow to a sinister desire.” That is indeed what I see in his artwork: a resolution that he will never bend his pride to any temptation or predicament. The pulsations spurting out from the abyss his heart are genuine as one sees them embedded deep in his works of art.

화폭에 담긴
소리의 형상과 울림 

박 광 민
-
한국어문교육연구회 연구위원

  1  

‘울림’이 화폭에 담겼다.

‘울림’은 마음의 소리요, ‘심장의 고동’이며, 설렘이다. 최소리의 그림은 그 ‘울림’과 ‘고동’을 形象化(형상화) 해낸 외침이다. 淨潔(정결)하게 비워진 작가의 深淵(심연)에서 퍼올려져 화폭에 담긴 ‘울림’은 다시 화폭밖으로 퍼져나가 관람자의 가슴에 깊은 감동으로 고동친다. 

 

‘고동’은 ‘鼓動(고동)’이라고도 쓴다.

한자의 뜻으로 풀이하면 ‘북소리의 울림’이 ‘고동’이다. 북은 인간의 가장 오랜 악기이고, ‘두두둥~ 두두둥~’하는 북소리는 인간의 심장 박동과 같다고 한다. 그래서 인간이 북소리를 들으면 심장이 고동친다고 하는데, “심장이 고동친다.”는 것은 무언가에 감동하여 인간의 마음이 파도처럼 울렁이며 無我之境(무아지경)에 든다는 것이다. 전쟁터에서 북을 울리는 것도 북소리로 마음을 격동시켜 다른 것을 잊고 두려움 없이 앞으로 나아가게 하려는 것이다. 

‘울림’과 ‘고요’는 서로 닿아 있다.

그래서 唐(당) 나라 韓偓(한악)은 <寄禪師(기선사)>라는 詩에서 “만물은 모두 바람을 만나 고동치지만, 오로지 禪室(선실)의 고요 앞에는 바람이 잔다.(萬物盡遭風鼓動 唯應禪室靜無風)”고 노래 했다. 한악이 말한 ‘動(동)’과 ‘靜(정)’은 外物(외물)에 의해 움직이는 것이 아니라 마음의 작용에 따라 고동치기도 하고 고요해지기도 한다는 것이다.

 

  2  

‘울림’을 만났다.

‘異人(이인)’이었다. 그와 만난 순간 문득 ‘知音(지음)’이라는 故事(고사)가 떠올랐다. 고대의 유명한 거문고 奏者(주자) 伯牙(백아)와, 백아의 거문고 소리를 잘 알아들었다던 鍾子期(종자기)의 만남이 이러했을까? 나는 종자기가 아니지만 최소리가 백아 못지않은 藝人(예인)인 것은 틀림없다.

지난 7월 13일 고양시에 갔었다. 그곳에 최소리가 있었다. 그의 夫人 鄭銀河(정은하) 선생을 만나기 위해 盧光來(노광래) 선생의 안내로 정선생 집에 도착한 것이 11시 경이었는데, 뜻밖에 그곳에 최소리가 있었다. 그가 집에 있을 것이라고는 생각지 못했고 정은하 선생만 잠시 만나 최소리 그림을 본 후 12시 30분경 노광래 선생과 그의 知人을 만나기로 한 것이었는데, 처음 만난 우리는 마치 前生(전생)의 知己(지기)를 現生(현생)에서 다시 만난 것처럼 無我境(무아경)의 대화에 빠져들고 말았다. ‘미친놈들’ 대화는 끝이 없었고, 옆에 있던 노 선생은 안절부절하며 약속 시간을 조금씩 늦추는 눈치였다. 그러거나 말거나 우리 대화는 끝없이 이어졌다. 노 선생에게는 많이 미안했다.

 

다음 약속이 아니었다면 우리 대화는 하루 온종일 이어졌을 테지만 아쉬움을 안고 일어난 것이 1시 40분 경이었다. 知人에게 다시 전화를 건 노광래 선생은 전화를 받지 않는다며 마음이 달아 연신 전화를 해댔지만 그의 지인은 끝내 전화를 받지 않았다. 나라도 약속한 이가 한 시간 이상 늦게 온다면 화를 내며 자리를 박차고 일어났을 터이니 가버린 분을 탓할 수도 없었다.

그날 최소리와 나눈 대화 중 가장 기억에 남는 표현은 ‘그냥 안다.’는 것이었다. “저의 작업은 그냥 자연의 변화와 현상을 보고 자연에 맡겨 오랜 시간 동안 자연이 만드는 작품에 저의 역할을 조금 얹어 자연과 함께 작품을 만드는 것 뿐입니다. 어떤 작가들은 이런 작품 기법은 어떻게 하는 것이냐고 묻기도 하는데, 그것은 누가 가르쳐 주는 것이 아니고 그냥 스스로 아는 거예요.” 

 

‘그냥 안다.’는 그의 말에 나는 ‘生而知之(생이지지)’와 ‘天眞’으로 和答(화답)했었다. 오래 전 나는 拙著(졸저) 字源故事成語三百選(자원고사성어삼백선)에 아래와 같은 머리글을 쓴 적이 있다.

“程子(정자)는『論語(논어)』 集注(집주)에서, ‘공자는 나면서부터 天理(천리)를 알았다. -生而知者也(생이지자야)’고 하였다.…… 옛사람들은 天智(천지)로 天理(천리)를 알았다. 지금 사람은 人智(인지)로 세상을 살아간다. 천지는 무엇이고 인지는 무엇인가? 天智(천지)는 크게 밝은 것이고 人智(인지)는 크게 어리석은 것이다. 天智(천지)는 타고난 天性(천성) 속에 담긴 지혜다. 꾸밈이 없어 담박하며 가르쳐 주지 않아도 스스로 天理(천리)를 안다. 四時[사시-사계]의 변화와 生滅(생멸), 曆數(역수)를 天稟(천품)으로 헤아리며, 易地思之(역지사지)로 자신을 비추어 남의 마음을 헤아려 안다.……”

 ‘그냥 안다.’는 것은 天智(천지)에 닿아 있다는 말인데, 스스로를 가리켜 감히 ‘그냥 안다.’고 하는, 말총머리의 이 ‘미친놈’은 누구인가. 그가 荒誕(황탄)한 말을 횡설수설한다면 다음 약속을 망쳐가면서까지 그와 대화를 나눌 필요도 없었겠지만 나는 “그냥 안다.”는 그의 말을 마음속으로 인정했다. 수줍음이 많아 여간해서 남과 이야기를 하지 않는다는 그도 ‘天眞(천진)’으로 화답하며 莊子(장자)의 비움을 이야기하는 나와 무언가 통한다고 느낀 것 같았다. 후에 나는 노 선생에게 “최소리는 異人(이인)입니다.”라고 했는데 그는 반신반의하는 듯했다.

  3  

도착하자마자 시작한 대화가 두 시간을 넘긴 뒤에야 盧(노) 선생에게 눈치가 보여 작품을 감상하기 시작했는데, 작품 한 점 한 점이 驚異(경이)로웠다. 마음 맞는 대화에 신명이 난 그는 끝내 부인과 아들에게 주기 위해 남들에게 공개한 적이 없었다는 6호짜리 極祕(극비?) 작품 두 점까지 꺼내서 보여주었다. 그 작품을 본 순간 나는 다시 無我境(무아경)에 빠져들어 작품에서 눈을 뗄 수가 없었다. “이건 돈으로 따질 수 있는 작품이 아니다. 어떻게 이런 작품이 나올 수 있지?” 나는 그림에서 눈을 떼지 못한 채 연신 감탄하며 옆에 있는 노광래 선생에게, “이건 정말 돈으로 따질 수 있는 작품이 아닙니다.”라며 같은 말을 몇 번이고 되풀이했다. 나의 말은 그의 작품을 보고 內面(내면)에서 저절로 터져나오는 歎聲(탄성)이었다.

붓질로는 흉내낼 수 없는 그의 작품은 알루미늄이나 銅版(동판), 캔버스 등에 물감을 올려놓거나 뿌려가면서 가장자리를 북 치듯 두드려 물감이 퍼져나가게 하는 방식으로 작업한다고 하였다. 1990년대 백두산 그룹의 Drumer였던 자신의 몸이 시키는 대로 그는 그만의 미술 작업 방식을 찾아낸 것으로 보였다. 

그와의 첫 만남 이후 나는 ‘中國 廣州 아시안게임 폐막식’을 비롯한 그의 연주 장면을 YouTube에서 찾아 살펴보았는데, 드럼을 치는 그의 모습은 한마디로 ‘미친 야수’였다. 그것은 모든 욕망을 내려놓고 마음을 비워 物我一切(물아일체)의 入神(입신) 상태가 되지 않으면 그런 연주를 할 수 없다. 野獸(야수) 같은 그의 음악 열정은 그대로 미술작업에 옮겨져 캔버스 위에, 종이 위에, 알루미늄과 동판 위에서 놀라운 형상으로 태어나 그가 표현하고 싶은 內面(내면)의 음악적 울림을 ‘천 마리의 鶴(학)’으로, ‘분출하는 용암’으로, ‘피어나는 꽃으로’ ‘우주의 울림’으로 꾸밈없이 표현해내는 것이다.

  4  

그는 귀에 異常(이상)이 생겼다고 했다. 음악을 하는 사람으로서 귀에 이상이 발생했다면 치명적일 것이다. 煩悶(번민) 속에 드럼을 연습하던 그는 솟구쳐 오른 鬱火(울화)에 있는 힘을 다해 스틱을 던져버렸는데, 그 스틱이 날아가 꽂힌 벽에 예상치 못한 무늬가 생겼다. “어? 이건 뭐지?” 순간 그는 그가 가야 할 방향을 퍼뜩 깨달았고, 그때부터 치열하게 미술에 파고들어 그만의 방식으로 미술의 길을 열어갔다. 

미술을 전혀 공부한 적이 없는 그였지만 드럼 스틱을 종이 위에 두드려 작업한 그의 초기 작품들은 놀라운 완성도를 보여주고 있는데, 미니멀리즘을 내세우며 大家然 해온 사람들의 작품에 못지않은 감동으로 다가온다. 이후 그는 알루미늄과 銅版(동판), 網紗(망사), 종이, 캔버스 등 다양한 재료들에 미련스럽다고 보일만큼 우직하게 物性 실험을 해가며 최소리만의 작품 세계를 공고하게 구축하였다. 드럼 스틱을 두드리는 것이 그의 중요한 기법이지만 그렇다고 그가 붓질에 서툴 것이라는 豫斷(예단)은 큰 誤算(오산)이다. 붓질로 완성된 그의 구상이나 추상 작품들은 놀라운 아름다움과 완성도를 보여주는데, ‘주기도문’이라는 작품은 署名(서명)을 가린 채 어느 大家의 작품 속에 나란히 놓아도 창의성이나 아름다움, 완성도 등 어느 측면에서도 밀리지 않을 만큼 훌륭하다. 2021년 유월에 인사동 KOTE에서 개최된 최소리의 <소리를 본다 劫(겁)> 展(전)에는 어느 주한미군의 女軍(여군)이 우연히 들렸다가 캔버스에 붓과 먹으로 그린 작품을 보고 마음을 빼앗겨, 평생 그림 한 점을 소장하겠다는 懇望(간망)으로 매월 조금씩 적금을 부어 마련한 돈으로 망설임 없이 그 작품을 컬렉션했다는 逸話(일화)는 그의 붓 작업이 人爲的인 것이 아니라 마음이 시키는 대로 그려나간 禪畵(선화)임을 代辨(대변)해 준다.

  5  

2021년 8월 10일 나는 아내와 함께 그가 있는 지리산 靑鶴洞(청학동)을 방문했다. 그는 그곳에 꽤 넓은 공간을 마련해 작업장으로 쓰고 있었는데, 1층과 2층으로 된 전시 공간에는 그의 다양한 작업 방식을 보여주는 작품들이 전시되어 있다. 한 점 한 점이 모두 놀랍지만 더 놀라운 것은 자연을 대하는 그의 謙虛(겸허)함이다. 첫번째 만남에서도 그는 “오랜 시간에 걸쳐 자연이 만드는 작품에 나는 나의 역할을 조금 더했을 뿐이다.”라고 謙辭(겸사) 했지만 작은 자갈이 깔려 있는 너른 마당과 주변 숲 곳곳에는 자갈 밑에 놓아두고 숙성시키는 銅版(동판)들이 지리산 風雨霜雪(풍우상설)과 자갈이 내뿜는 기운, 엉킨 풀뿌리, 여름날 햇볕에 뜨겁게 달궈진 동판에 기어올랐다가 자기 몸을 犧牲(희생)으로 바쳐 또 다른 색깔을 만들어 낸 작은 벌레들의 흔적과 기운이 화음을 이루며 자연색이 곱게 밴 작품을 만들어가고 있었다. 그의 말대로 1년이나 2년에 걸쳐 자연과 세월이 만들어 놓은 이 작품들 위에 최소리는 최소한의 역할만 더해 자연과 합작으로 놀라운 작품을 만들어내고 있는 것이다. 아무도 눈여겨 보지 않고 무심히 지나치던 돌멩이가 뿜어내는 기운을 그는 놀라운 慧眼(혜안)으로 관찰해 자연이 만드는 미술작품 제작에 겸허하게 마음 비워 자신을 참여시킨 것이다. 나는 지리산 精氣(정기)을 받아 숙성되고 있는 동판에서, ‘淋漓(임리)한 돌멩이의 핏자국’들을 보았다. 2013년에 간행된 拙著(졸저) 思惟(사유)의 뜨락에서에, 군 생활할 때 썼던 진중(陣中) 書簡文(서간문)을 실은 적이 있다. “이 아름다운 산하에 있는 것, 풀 한 포기, ‘돌멩이 하나’에도 우리의 핏속에 흐르는 질박한 맥박은 連綿(연면)히 뛰고 있을 것이니 이 땅에 뿌리박고 솟아난 이름 없는 들꽃 한 송이인들 어찌 소홀히 보아 넘길 수 있겠습니까.” 그런데 지금 지리산 최소리의 작업장에서, 가슴으로만 느끼고 언어적으로만 표현했던 ‘이 땅의 돌멩이 하나에도 흐르는 질박한 맥박’의 형상을 실제로 보게 되었으니 오래전부터 잉태되었던 ‘因’이 이제야 緣으로 이어진 것처럼 여겨진다.

  6  

그의 작업 요체는 두드림이다.

스틱을 두드리는 것이든, 붓질을 하는 것이든 그의 작품은 사람의 마음을 두드려 감동시키는 것이다. “저는 제 남은 生을 모두 걸었습니다. 어떤 물적(物的) 유혹과도 타협 안 합니다. 邪慾(사욕)에 굽히느니 차라리 부서져 죽겠습니다.”라는 그의 각오는 어떤 곤경이나 유혹에 처해도 작가나 한 인간으로서의 自尊을 버리지 않겠다는 울림이다. 그의 가슴 속 深淵(심연)에서 용솟음치는 진솔한 고동은 그대로 그의 작품에 깊이 배어든다.

  7  

書經(서경) 「堯典(요전)」에, “格于上下(격우상하)”라는 말이 있다. 어진 임금이 덕으로 땅과 하늘을 울린다는 말이다. 자연이 만드는 작품에 겸허하게 마음 비워 자신을 참여시킨 최소리의 두드림이 먼저 天地(천지)를 울려 감동으로 “格于上下(격우상하)”하고, 많은 사람의 마음에 고동쳐 “格于深淵(격우심연)”하는 감동의 울림으로 오래 남기를 懇願(간원)한다.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