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Another resonance beyond sound.

A Critique by Jang Hyungeun
- CEO. EcoRock Gallery - 

If one infinitely breaks down all things, atoms will come out, and the atoms will again break down to atomic nuclei and neutrons, as well as the electrons that will float around them like a cloud. Among them, the nucleus that exists inside an atom is 100000 thousand times smaller than the size of the atom. The rest of the area is filled by an electron cloud, so realistically the atom that we know can be considered to be empty. Recent advances in technology have led us to discover that protons and neutrons in the nucleus are made up of particles like quarks and Higgs bosons that are much smaller. Israel’s Weizman Institute of Science, which boasts the highest authority in quantum physics, has found through double-slit experiments that not only physical objects but also brain waves, and light and sound electromagnetic waves are divided into infinitely small particles, which leave traces of other atoms in waves. The meaning of leaving a mark is explained by a resonance sent from another party that intertwines with the waves in the receiver’s own internal space. Sometimes, because such waves go beyond time and space to pour into us, we feel deeply moved by art.

 

As the cosmic rays formed after the Big Bang gradually cool down, the electromagnetic waves emitted afterward that reach Earth are the high-frequency gamma rays, x-rays, ultraviolet rays, as well as light, infrared, and radio waves that our eyes can observe. Among these electromagnetic waves, light travels through waves even in vacuums, but only sound resonates in the empty areas of 10^28 atoms that make up our bodies through auditory and tactile senses of a human’s five senses. So how does resonance in the empty space of the atoms that make up our bodies affect our bodies? Aristotle tells the story of catharsis in his book "Poetry," which purges, or resonates negative emotions hidden in our unconscious minds such as fear, sadness, remorse, tension, and emotional wounds out of our bodies. With a kind of spiritual sublimation and purification, we experience strange pleasure and sense relief at the end of this process, or from the feeling of the disappearance of sadness. The artist, in the Pathos state, purifies and rewards himself with the pleasure that arises by amplifying his artistic sensibility into resonance on the electromagnetic wave that penetrates the voids in our bodies. The audience then receives the amplified waves and can thus experience the same feelings as the artist. Musical vibrations and waves resonate with the hearts of both the people who make the sound and the listeners, and only when the sorrow and sadness are released, the mind can be purified.

 

Can anyone receive the waves and allow it to resonate? That is not always the case. When an artist releases a heavy wave, the audience must also be ready to receive it. Only when the audience is in a Pathos state where their frequency is the same as the artist and opened, can they resonate with the waves of emotion. British psychoanalyst M. Klein prescribed ‘play therapy’ to treat children, who naturally were unable to enter a state of unconsciousness from a rational Logos state. Because of children’s intentional resistances to recall negative memories, ‘play therapy’ was used to create an environment where they can concentrate. Thus, treatment began after the children were in a fully immersive, or Pathos state. This ‘play therapy’ is not only meant for children. Adults can easily reach the state of Pathos with a little preparation and in the right environment, such as when cheering for soccer or baseball, watching movies or performances, or stopping by an exhibition hall to appreciate the works of their favorite artists.

 

The human brain initially evolves outward from the chestnut-sized brain stem formed during the reptile. The brain stem is responsible for the most basic functions of survival and reproduction, such as fight or flight, mating, and heart beating and breathing, which are human primitive instincts. Humans then evolved into mammals, whose brain surrounded the brain stem and grew into a limbic system responsible for emotion and sensation. Only after humans evolved into primates, was it possible for humans to have a cerebral cortex that could provide reason, logical thinking, inspiration, and intuition. Our cerebral cortex evolved into a serpentine shape, like the pulmonary alveolus, to provide a larger surface for storing even more information. Even though brain capacity has evolved in the direction of self-expanding, as the amount has grown to such an extent that it can no longer store much of the information needed for survival and reproduction, mankind’s ancestors took extraordinary measures. They found a way to store information outside of the body. It's like today’s Blockchain, where you can copy and paste your precious information into other people's brains and share them. This is the beginning of collective solidarity and ties that were essential for the survival and prosperity of mankind. The way we gathered and shared information we collectively needed is the background of the birth of today’s art genres: theater, poetry, painting, dance, and music.

 

These collective events are developed into the "Festival of Dionysus" of the West, and in Korean culture, events of the Shango period, such as the alliance of Goguryeo, the Mucheon of Dongye, and the Yeong-go of Buyeo have developed. In particular, Yeong-go of Buyeo is held in December, compared to other Jecheon events that are held in October. The reason is that hunting and nomadism are the main economic focuses of Yeong-go, unlike other countries whose main focus is agriculture. There would have been nothing better than a leather drum to lift the spirit of the hunter-gatherer race that ran through Manchuria. The dull, low-pitched drum resonates in the chest of all listeners with its long soundwaves, secreting adrenaline. Drumming would have been the best way to cause a collective Pathos state within a short period of time. Furthermore, the sound of drums at the Jecheon event, not a battlefield but a place of solidarity and festivals where information about survival and prosperity were shared, was so symbolic that the event was named Yeong-go.

 

As you may know, artist Choi Sori, who shared the sound of Korea with people from all over the world at the Guangzhou Asian Games, and Qatar and Vancouver Olympic ceremonies, has already lived at one with the drum, resonating with its sound for decades. Half of his breathing life was in a Pathos state, an exciting life full of madness, revel, and Samadhi. The artist himself was in the same hazed state as the famous Chinese/Daoist Philosopher Zhuangzi, who in the thinker’s anecdote, upon waking up from a dream of being a butterfly, admitted he did not know if he was a butterfly or a philosopher. Choi Sori was in this state as he hit drums of all shapes and sizes to resonate with the world. Each time, the artist’s spiritual flow that only he and not the crowd could see, in other words, the sound waves of the drums, wound up the tens of thousands of people to resonate with the empty spaces in their cells. Subsequently, Choi Sori suddenly decided to visualize the percussive sounds that only he could see. The reason is that he knew time-based arts like performance are spontaneous at spreading spiritual feelings, but not persistent. What is another resonance that artist Choi Sori, who already has a priori mechanism that has purified the world through the resonance of sound, seeks in the realm of painting as a visual artist?

Obsessed with sound since childhood, artist Choi Sori quit formal education to bury himself within nature and became addicted to the sound waves produced from all objects that he beat.

Choi Sori feels with his whole body those wavy waves created by the sounds from his beating as they push out the density of air. It’s the pattern from the waves that only he can see through the five senses. Once such sound waves had already left the epicenter and disappeared into distant space, the heart’s core and feelings of resentment (Han) will become purified. As a first step, realizing that emptiness also remains, the artist begins to capture on canvases the traces left behind when the sound waves sweep through. The artist himself feels in his state of resonance, in other words, the Pathos and spiritual states, the feelings Samadhi and intense drive: madness and intoxication, fear, passion and ecstasy, and even the emotions of extreme sorrow... Although these are expressed visually and not through sound, we can experience a sort of hallucination that allows us to hear and feel the same waves that resonate from sounds. This is possible because of the subtleties of our human body called synesthesia. The desire to show the sound he wanted was realized through the beauty of expressing objects and things artistically in three dimensions within a flat surface/canvas, adding another [figurative] annual tree growth ring to his life.

 

According to the theory of quantum physics, if all creatures in the universe made of highly intelligent particles, these particles store all sorts of information in a way that leaves a mark through waves that go beyond time and space. This is why we automatically feel humble when we visit old cathedrals or temples, become especially attached to relics received from our ancestors, and thus the meaningful gifts we received from our loved ones become precious to us. The artist, conscious of this mysterious cosmic providence and the laws of nature, goes beyond just showing the wavelength of sound, and now succeeds in storing and showing sound through visual art. The media that will directly record the sound waves are the metal materials, which have the highest wave frequencies and energies. They have enough properties to reflect the artist’s intentions. Now, through the artist’s work, we can experience a high level of synesthetic resonance in which sound is stored and where the soundwaves spread like the wave of the sea.

 

Choi Sori’s artistic behavior of synesthesia, which transcends traditional genres and media, can be found in the Korean people’s spiritual sense of beauty. Spirituality does not occur when rational reason is in charge of our brains, but when we feel spirits in our body, which bring out the states of Samadhi, intense drive, and trance. Whoever reaches this spiritual state will become mentally elated and physically excited. Since Korea’s Sanggo era, our ancestors have recognized this spiritual state as the only channel to interact with Plotinus’ ‘the One’, Mother Nature, the skies, space, and the universe. In the thought that the universe is composed of humans who reside between the land and skies, there must be a spiritual warrior who connects the Earth with the heavens. In other words, a person who can more than anyone else, easily fall into a Pathos state to lead the masses through collective hypnosis is needed. In this way, the supernatural thought of Cheonji-in (skies, land, and humans) that originated from the Jecheon event during the Sanggo period, was expressed in the Joseon Dynasty through the Pungnyu spirit (‘wind flowing mindset’), following the Hwarang (Flower Knights of Silla Dynasty). Today, it is a unique Korean thought that is passed down and manifested to all artists.

 

Choi Sori has already resonated his spiritual devotion through sound, and there are countless experiences where he caused the world to be in collective hypnotic ecstasy and frenzy and a state of intoxication and passion. His exhilarating percussive sounds by themselves have made the world into a hall of solidarity and one large community with the resonances of ecstasy and intense drive. Artist Choi Sori is the first spiritual man to carry our intrinsic aesthetics. Such aesthetics are derived from the ethereal states of excitement and elation, which come from a physical frenzy that makes one want to ‘shoulder dance’. This exhibition proves that Choi Sori’s overflowing energy can go beyond just sound by visualizing and storing it and that his desire to stimulate the public’s synesthesia in another genre can be expressed through paintings that are reflected from formative consciousness. The essence and source of his artistic desires are the same regardless of the genre of art, with only a difference in how it is implemented. The exhibition is the story of Choi Sori the artist, who has already conquered the countless peaks of the Pathos state, and his yet another eruption of artistic desire. Although unlike the sound wave, the instantaneousness is reduced, I applaud his desire to visualize the resonance of sound that will last for tens of thousands of years, in the same manner as prehistoric cave paintings. Just as he resonated with the Earth through sound, I have no doubt that his two-dimensional paintings, which reflect the sense of formative spirituality with the storage of sound and soundwaves, will resonate with the whole planet once again.

소리를 넘어선
또 하나의 공명[共鳴]

장 현 근
-

에코락 갤러리 대표이사

 만물을 무한소로 쪼개면 원자가 나오고, 그 원자는 다시 원자핵과 중성자,그리고 그 주위를 구름처럼 떠도는 음전하로 나눠집니다. 그 중 원자속에 존재하는 핵의 크기는 원자 전체 크기의 10만분의 1정도 매우 작고, 그 나마지 공간은 전자구름이 채우고 있어 사실상 우리가 알고 있는 원자는 빈공간이라고 해도 무방합니다. 최근에 진전된 과학 기술의 힘으로 원자핵내의 양성자와 중성자는 그보다 훨씬 작은 쿼크와 힉스와 같은 미립자 알갱이로 구성되어 있다는 것을 발견하게 되죠. 양자 물리학의 최고 권위를 자랑하는 이스라엘 ‘와이즈만과학원’은 이중슬릿 실험을 통해 물성을 가진 물체뿐만 아니라, 뇌파와 빛, 소리같은 전자기파도 무한소인 미립자 알갱이들로 나뉘며,그 미립자들이 물결모양의 파동을 통해 다른 원자에 자국을 남긴다는 사실을 알아냈습니다. 자국을 남긴다는 의미는 바로 상대편에서 보낸 파동이 내 몸안의 빈공간에서 자신의 파동과 뒤엉켜 일으키는 공명을 말합니다. 때로는 시간과 공간을 뛰어넘어 몰려오는 이런 파동 때문에 우리는 예술 작품을 통해 진한 감동을 느끼는 것입니다.

 

 빅뱅 이후 형성된 우주화구가 점차 식어가자,이때 방출된 전자기파가 주파수가 높은 감마선,엑스선,자외선, 그리고 우리의 시각으로 관찰 가능한 가시광선,적외선, 전파 순으로 지구에 도달합니다. 그런 전자기파 중에 빛은 진공상태에서도 파동으로 전파되지만,오직 소리만은 공기의 밀도에 따라 생성되는 파동으로 인간의 오관 중 청각과 촉각을 통해 우리 몸을 구성하고 있는 10의 28승 개의 원자속의 빈공간에서 공명을 합니다. 그렇다면 우리몸 원자내의 빈공간에서의 공명은 우리 몸에 어떤 영향을 줄까요? 아리스토텔레스는 시학에서 우리 무의식 속에 숨겨져 있는 공포,슬픔,연민,긴장,상처 같은 부정적 기제들을 격한 감정 유발, 즉 공명을 함으로써 몸 밖으로 배설하는 카타르시스[Katharsis]에 대해 이야기 합니다. 일종의 정신적 승화 및 정화 작용으로 우리는 이 과정이 끝나면 묘한 쾌감과 개운함을 느끼거나, 슬픔이 사라지는 효과을 경험하게 됩니다. 예술가는 파토스[Pathos]상태에서 우리 몸안의 빈 공간을 관통하는 전자기파에 자신의 예술적 감성을 담아 공명으로 증폭시킴으로서, 스스로를 정화하고 이때 발생되는 쾌감을 보상받습니다. 그 증폭된 파동을 받는 관객 또한 같은 경험을 하게 됩니다. 음의 진동과 파장은 소리를 내는 사람이나 듣는 사람의 마음을 함께 공명시켜 응어리진 한과 슬픔이 풀어진 신명난 상태로 가야 비로소 마음이 정화되는 것입니다.   

 

 그렇다면 누구나 그 파동을 받아 공명할 수 있을까요? 그렇지 않습니다. 예술가가 파동을 증폭시켜 방출할 때 관객 또한  그 파동을 받을 준비가 되어 있어야 합니다. 예술가와 같은 수준의 대역에 주파수를 연 파토스 상태여야 오롯이 그 감동의 파동을 받아 공명할 수 있게 됩니다. 영국의 정신 분석학자 M.클라인은 이성적인 로고스[Logos]에서 무의식 상태에 접어들기 힘든 어린이를 대상으로 ‘유희 요법’으로 치료를 했습니다. 부정적인 기억을 떠올리는 것에 대한 의도적인 저항 때문에 어린이들이 집중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 주고, 몰입 즉 파토스 상태에 이르게 한 것입니다. 이 ‘유희요법’은 비단 어린이만 해당 되는 것은 아닙니다. 어른들도 축구나 야구를 응원하거나, 영화 또는 공연을 보거나, 좋아하는 작가의 작품을 감상하러 전시장에 들리는 등 약간의 환경만 조성되면 누구나 쉽게 공명이 가능한 파토스 상태에 이를 수 있지요.

 인간의 뇌는 최초 파충류때 형성된 밤톨만한 뇌간으로부터 외부로 진화를 하게 됩니다. 뇌간은 인간의 원초적 본능인 공격과 방어행위 및 짝짓기 그리고 심장 박동과 호흡활동 같은 생존과 번성에 관한 가장 기본적인 기능을 담당합니다. 이후 포유류로 진화하게 된 인간의 뇌는 뇌간을  감싸며, 감정과 정서을 담당하는 변연계로 커집니다. 이윽고 영장류로 진화한 뒤에 비로소 이성과 합리적인 사고, 그리고 영감이나 직관을 발현할 수 있는 대뇌 피질을 갖게 됩니다. 대뇌 피질은 보다 많은 정보를 저장하기 위하여 마치 허파 꽈리처럼 제한된 뇌공간 넓은 표면을 갖기 위해서 쭈글쭈글한 형태로 진화하게 되죠. 뇌용량이 스스로 확장되는 방향으로 진화했음에도 불구하고 생존과 번성에 필요한 수많은 정보를 더 이상 자체 저장할 수 없을 정도로 그 양이 증가하자, 인류의 조상들은 특단의 조치를 취합니다. 바로 정보를 육체 밖으로 저장하는 방법을 찾은 것입니다.마치 오늘날 블록체인[Block Chain]처럼 자기가 가진 소중한 정보를 타인의 뇌에 복사해서 붙여 넣어 공유하는 방법을 찾은 것입니다.인류의 생존과 번성에 반드시 필요했던 집단 연대 및 유대 관계의 시작입니다. 바로 이때 모여 집단적으로 필요했던 정보를  공유했던 방식이 오늘날 예술의 장르인 연극,음유시,연극,회화,춤,음악의 탄생 배경입니다.

 이런 집단 행사는 서양의 ‘디오니소스 제전’으로 발전되고, 우리 한민족은 고구려의 동맹,동예의 무천,부여의 영고[迎鼓]같은 제천행사로 나타납니다. 특히 부여의 영고는 다른 제천행사가 모두 10월에 열리는 것에 비하여 12월에 열리는데, 이는 농경을 업으로 하는 다른 나라와 달리 수렵과 유목이 주업인 까닭입니다. 만주 벌판을 내달렸던 수렵 기마민족의 기상을 북돋는데는 파장이 길며 낮게 갈려 지평원 너머까지 멀리 공명시키기에 혁고[革鼓]만한 것을 없었겠지요. 둔탁하게 낮게 울리는 북소리는 그 파장이 길어 듣는 사람 모두의 가슴을 공명시켜 뛰게 합니다. 단시간에 집단 파토스 상태를 유발하기에는 북소리가 최고의 방법이었을 겁니다.하물며 전쟁터도 아닌 생존과 번성의 정보가 공유되는 연대와 축제의 마당인 제천행사에서의 북소리는 그 행사의 이름을 영고라 했을 정도로 상징적이었습니다.

 잘 아시다시피 이미 소리 하나만으로 광저우,카타르,벤쿠버 올림픽 개폐회식에서 한국의 소리를 전 세계인을 대상으로 알린 작가 최소리는 이미 십수년을 북과 접화 된 상태에서 북소리와 공명하며 살아왔습니다. 살아 숨쉬는 시간 절반이 파토스 상태, 즉 광기와 도취와 삼매의 신명난 삶이었죠. 작가 스스로도 내가 나비인지..나비가 나인지 모를 장자의 호접몽[胡蝶夢]상태에서 크고 작은 북을 쳐 세계를 공명시켰습니다.그때마다 우리는 못보고 그의 눈에만 보이는 기의 흐름, 즉 북소리의 파장이 경기장을 가득 메운 수만명의 사람들을 휘어감아 그들의 세포속 빈공간을 공명시킬 때, 작가 최소리는 문득 그의 눈에만 보이는 그 소리의 파장을 영구히 시각화하기로 결심을 합니다. 공연과 같은 시간 예술은 신명에 이르는 그 효과가 즉흥적이지만 지속성이 없다는 것을 잘 알고 있기 때문이죠. 이미 소리의 공명을 통하여 세계를 정화시킨 선험적 메카니즘을 가진 작가 최소리가 시각예술인 회화의 영역에서 추구하는 또 하나의 공명을 과연 무엇일까요?

 어린시절부터 소리에 미쳐 정규 교육과정에서 이탈한 상태로 자연 속에 파묻혀 모든 물성을 가진 물체를 두드리며 그것들이 내는 소리 파장에 중독되어 득음 아닌 득음을 한 작가 최소리는 그가 두드리며 낸 소리가 공기의 밀도를 밀어내며 물결 모양의 파장을 만들어내는 것을 온몸으로 느낍니다. 우리는 못보고 그만 오롯이 오관을 통해 볼 수있는 파동의 무늬이죠. 소리의 파동은 진원지를 이미 떠나 먼 우주로 사라지자 비록 응어리와 한은 정화되었지만 공허함도 함께 남는다는 것을 깨달은 작가는 첫단계로 파동이 휩쓸고가며 남긴 자국을 수묵 담채로 화폭에 담기 시작합니다. 작가가 스스로 공명된 상태, 즉 파토스와 신명의 상태에서 느꼈던 삼매와 몰아의 감정들인 광기과 도취,공포 그리고 격정과 황홀경, 심지어는 극한의 슬픔의 정서가 응어리진 한까지…비록 그것들이 소리가 아닌 시각으로 표현되었지만, 우리는 소리가 공명되며 내는 파장을 들리는 환청을 경험하게 됩니다. 바로 공감각이라는 우리 인체의 오묘함 때문에 가능한 일입니다.이렇게 그가 염원하던 소리를 보여주고자 했던 욕망이 실현되어 또 하나의 단단한 나이테를 추가 합니다.

 양자 물리학 이론에 따르면 우주의 모든 피조물에는 고도의 지능을 가진 미립자들로 만들어져 있으며, 이 미립자들은 시공을 초월하여 파동에 의한 자국을 남기는 방법으로 온갖 다양한 정보를 저장하고 있습니다. 우리가 오래된 성당이나, 절에 가면 저절로 숙연함을 느끼고, 선대로 부터 받은 유품에 유난히 더 정이 가며, 사랑하는 사람에게 받은 의미있는 선물이 소중해지는 이유입니다. 이 오묘한 우주의 섭리와 자연의 법칙을 스스로 체득하고, 자각한 작가 최소리는 소리의 파장을 보여주는 것을 넘어서, 이제는 회화적 작품에 소리를 저장하여 보여주는 데 성공하지요. 소리의 파장을 직접 기록하게 될 매체은 소리의 파동 주파수가 가장 높고 에너지가 큰 금속재질 매체들로 작가의 의도가 반영되기에 충분한 물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젠 한 단계 더 진전된 작가의 작품을 통해서 우리는 소리가 저장되고 그 파동이 물결처럼 퍼져 나오는 차원 높은 공감각적 공명을 경험하게 된 것입니다.

 

 작가 최소리의 이러한 장르와 매체를 초월한 공감각의 예술적 행위는 우리 한민족의 미의식인 신명[神明]에서 찾을 수 있겠습니다. 합리적인 이성이 우리 뇌를 주관하는 때가 아닌, 내몸에서 귀신이 나타나는 상태인 바로 신명[神明]난 상태, 순식간에 삼매[三昧]의 일심불란(一心不亂), 무아지경, 몰아의 경지에 이르게 되면 나타납니다.누구나 이 신명에 이르면 정신적으로 樂하게 되고 육체는 興에 취하게 되지요. 상고시대부터 우리 조상들은 이 신명난 상태를 절대적 일자,하늘,우주,대자연과 접화하는 유일한 통로로 인식합니다. 우주는 하늘과 땅 사이에 사람으로 구성되어 있다는 천지인[天地人]사상에는 천지를 이어주는 사람인 무인[巫人]의 존재가 필연적입니다. 누구보다도 신명난 상태, 즉 파토스의 경지에 쉽게 빠져들어 대중을 집단 최면 상태로 이끄는 사람말입니다.이와 같이 상고시대 제천행사에서 발원한 천지인의 신선 사상은 화랑도에 이어 조선시대에는 선비들의 풍류정신으로 발현되며 오늘날은 모든 예술가들에게 이어져 발현되는 우리 고유의 사상입니다.

 

 작가 최소리는 이미 소리를 통하여 그의 신명을 공명시켜,전 지구인을 집단 최면인 황홀경과 광란, 그리고 도취와 격정의 상태를 유발 시킨 경험이 셀 수 없이 많습니다. 그의 신명난 한판 소리는 그 자체가 무아지경, 몰아지경의 ‘興과 樂’의 공명으로 전 지구를 연대와 대동의 장으로 만들었지요. 작가 최소리는 즐겁고 행복한 樂의 정신적 상태와 어깨춤이라도 덩실거릴 육체적 興에 취하는 신명에서 파생된 樂&興이라는 우리 고유의 미의식을 지닌 초유의 무인[巫人]입니다. 이번 전시는 그의 넘치는 에너지가  소리를 넘어서 그 소리를 보여주고 저장시켜, 또 다른 장르로 대중의 공감각을 자극시켜 공명하겠다는 욕망이 조형의식으로 반영된 회화로도 표출될 수 있다는 것을 증명하는 전시입니다. 그의 예술적 욕망의 본질과 근원은 예술 장르에 상관없이 동일하며, 다만 구현되는 방법의 차이가 있을 뿐입니다. 이번전시는 이미 파토스와의 신명[神明]의 수시로 넘어본 작가 최소리의 또 다른 예술적 욕망의 분출에 관한 이야기입니다.비록 소리의 파동과 달리 즉시성은 떨어지지만 선사시대 동굴벽화처럼 수만년동안 지속될 소리의 공명을 시각화하려는 그의 욕망에 찬사를 보냅니다. 그가 소리로 지구를 공명시켰듯이 소리의 저장과 파동이 담겨 조형의식이 반영된 평면회화도 지구인을 또 한번 공명시킬 것이라 믿어 의심치 않습니다.

bottom of page